본문 바로가기

이세돌 vs AI인공지능 결과는?

yunree8076 2025. 2. 13.
반응형

바둑

 

구글의 딥마인드 팀에서 개발한 알파고는 지금은 은퇴했기 때문에 더 이상 대국이 없고

현재까지 공식적인 대국에서의 전적은 13전 12승 1패입니다. 이 1패가 이세돌 9단에게 패배한 1패이죠.

처음 판후이 2단과의 대국에 5전 5승, 이세돌 9단에게 4승 1패, 커제 9단에게 5전 5승입니다.

알파고는 시간이 갈수록 더 강해져서 세계 바둑강자들 인터넷 대국도 60 번 두었는데 60승 0패입니다.

더 이상 인간은 인공지능을 이길 수 없음이 확실해 졌죠.

그리고, 알파고는 은퇴를 했습니다.

인간들의 실력도 인공지능 때문에 많이 늘긴 했기 때문에 지금 다시 대국을 하면 이길 지도 모르지만

대국을 할 방법이 없죠.

알파고가 사라진 지금 중국의 "절예" 가 최고라고 알려져 있고 카타고, 골락시 등이 있습니다.

 

2016년, 바둑 역사에 길이 남을 대결이 펼쳐졌습니다. 인간 대표로 나선 이세돌 9단과 구글 딥마인드의 인공지능 '알파고'가 맞붙은 이 경기는 바둑계를 넘어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습니다. AI가 인간을 압도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세돌 9단이 거둔 단 한 번의 승리는 인공지능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졌습니다. 과연 AI 바둑 프로그램은 완벽한가? 인간은 AI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본 글에서는 이세돌이 던진 질문을 중심으로 바둑 AI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합니다.

1. 바둑 AI는 인간보다 완벽한가?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결 이전까지 바둑은 인간의 창의성과 직관이 중요한 게임으로 여겨졌습니다. 체스와 달리 경의 수가

어마어마하게 많기 때문에 컴퓨터가 인간을 이기기 어렵다고 생각되었습니다. 하지만 알파고의 이를 뛰어넘어 인간 챔피

언을 상대로 4승 1패를 기옥하며 충격을 안겼습니다 .

 

  • 실수를 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AI도 계산 오류를 범할 수 있으며, 완벽한 정답을 찾아내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 변칙적인 플레이에 취약: 이세돌 9단이 승리한 4국에서처럼, 기존의 패턴을 벗어난 창의적인 수가 AI를 혼란에 빠뜨릴 수도 있습니다.
  • 인간의 사고방식을 반영하지 않는다: AI는 승률을 계산해 수를 선택하지만, 인간은 직관적이고 감각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즉, AI 바둑 프로그램이 인간보다 강하다고 해도, 완벽하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2. AI는 바둑을 어떻게 변화시켰나?

알파고 이후, 프로 바둑계에서는 AI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해졌습니다. AI 바둑 프로그램은 단순한 훈련 도구를 넘어, 인간이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전략과 수를 발견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바둑 공부 방식의 변화

과거에는 기보를 연구하고 스승에게 배우는 것이 기본적인 훈련 방법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AI를 활용한 연구가 필수가 되었습니다.

  • 프로 기사들은 AI 분석을 통해 자신의 대국을 복기하고, 최적의 수를 학습합니다.
  • AI는 정석(定石)의 개념을 바꾸었고, 인간에게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 인간 기사들의 플레이 스타일 변화

AI 바둑은 기존의 이론을 뒤집는 수를 보여주며, 인간 프로 기사들에게 새로운 도전 과제가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변화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초반부터 공격적인 수가 증가하며, 기존보다 빠르게 판을 결정하는 경향이 강해졌습니다.
  • 승률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수읽기 방식이 자리 잡았습니다.
  • 불확실한 싸움보다는 확실한 승리를 추구하는 전략이 많아졌습니다.

결과적으로 AI의 등장으로 바둑계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인간도 AI를 활용해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3. 인간은 AI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이세돌 9단이 알파고를 상대로 거둔 유일한 승리는 매우 상징적인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그는 AI가 계산하지 못하는 ‘창의적인 한 수’를 두었고, 이를 통해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그렇다면 인간은 다시 AI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요?

(1) AI가 극복하지 못하는 영역

  • 감정과 직관: AI는 철저히 확률과 승률을 기반으로 두지만, 인간은 직관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 의도적인 변칙 플레이: AI는 보통 승률이 높은 수를 선택하기 때문에, 인간이 예측 불가능한 전략을 구사하면 AI도 대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학습 데이터의 한계: AI는 과거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하기 때문에,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플레이에는 약점을 보일 수 있습니다.

(2) AI를 활용한 인간의 발전

바둑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AI가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고 있지만, 중요한 점은 AI와 인간이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협력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 AI를 활용해 더욱 깊이 있는 전략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 AI와 인간이 공존하는 방식으로 바둑을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결국, 인간이 AI를 뛰어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더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

결론: AI는 적이 아니라 같이 살아가는것이다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결은 AI가 인간을 이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동시에 인간의 창의성과 직관이 여전히 중요하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AI 바둑 프로그램은 인간보다 강력하지만, 바둑의 본질을 완전히 바꿀 수는 없습니다. 앞으로 바둑은 AI와 인간이 함께 발전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AI는 인간의 적이 아니라, 더 나은 바둑을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

반응형

댓글